파이썬 변수와 데이터 타입: 코딩의 기본 재료들

안녕하세요! 지난번에 파이썬 설치와 기본 환경 설정에 대해 알아봤는데요, 오늘은 파이썬 프로그래밍의 핵심 개념인 ‘변수’와 ‘데이터 타입’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. 이 개념들은 모든 프로그래밍의 기초가 되는 부분이니 천천히 따라와 주세요! 😊

변수란 무엇일까요?

변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‘상자’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. 우리가 어떤 값을 나중에 다시 사용하고 싶을 때, 그 값에 이름을 붙여서 저장해두는 거죠. 예를 들어, 여러분의 나이를 저장하고 싶다면:

pythonage = 25

이렇게 하면 age라는 이름의 변수에 25라는 값이 저장됩니다. 나중에 이 값을 사용하고 싶을 때는 그냥 age라고 부르면 되죠!

파이썬 변수의 특징

파이썬의 변수는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와 조금 다른 특징이 있어요:

  1. 타입 선언이 필요 없어요: C나 Java처럼 변수의 타입을 미리 선언할 필요가 없습니다.
  2. 동적 타이핑: 같은 변수에 다른 타입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어요.
  3. 변수명 규칙: 문자, 숫자, 밑줄(_)을 사용할 수 있지만, 숫자로 시작할 수 없어요.
python# 올바른 변수명
my_name = "파이썬초보"
age1 = 25
_secret = "비밀"

# 잘못된 변수명
1age = 25  # 숫자로 시작할 수 없어요
my-name = "파이썬초보"  # 하이픈(-) 사용 불가

파이썬의 기본 데이터 타입

이제 파이썬에서 사용하는 기본 데이터 타입에 대해 알아볼까요? 데이터 타입은 변수가 저장할 수 있는 값의 종류를 말합니다.

1. 숫자형(Numeric Types)

정수(Integer)

정수는 소수점이 없는 숫자입니다.

pythonage = 25
negative_number = -10

실수(Float)

실수는 소수점이 있는 숫자입니다.

pythonheight = 175.5
pi = 3.14159

복소수(Complex)

복소수는 실수와 허수부로 구성됩니다. 과학 계산이나 공학에서 많이 사용해요.

pythoncomplex_number = 3 + 4j

2. 문자열(String)

문자열은 텍스트 데이터를 저장합니다. 작은따옴표(‘)나 큰따옴표(“)로 감싸서 표현해요.

pythonname = "파이썬초보"
message = '안녕하세요!'

여러 줄의 문자열은 삼중 따옴표로 표현할 수 있어요.

pythonlong_text = """이것은
여러 줄에 걸친
문자열입니다."""

문자열 연산

문자열은 다양한 연산이 가능합니다:

python# 문자열 연결하기
first_name = "파이썬"
last_name = "초보"
full_name = first_name + " " + last_name  # "파이썬 초보"

# 문자열 반복하기
echo = "안녕! " * 3  # "안녕! 안녕! 안녕! "

# 문자열 인덱싱
name = "파이썬"
first_char = name[0]  # "파"

# 문자열 슬라이싱
language = "파이썬 프로그래밍"
python = language[0:3]  # "파이썬"

3. 불리언(Boolean)

불리언 타입은 True(참) 또는 False(거짓) 두 가지 값만 가질 수 있습니다. 조건문에서 많이 사용돼요.

pythonis_student = True
has_car = False

4. None 타입

None은 값이 없음을 나타내는 특별한 타입입니다. 다른 언어의 null과 비슷한 개념이에요.

pythonempty_value = None

데이터 타입 확인하기

변수의 데이터 타입을 확인하고 싶을 때는 type() 함수를 사용합니다:

pythonage = 25
name = "파이썬초보"
is_student = True

print(type(age))       # <class 'int'>
print(type(name))      # <class 'str'>
print(type(is_student))  # <class 'bool'>

타입 변환(Type Conversion)

때로는 한 데이터 타입을 다른 타입으로 변환해야 할 때가 있어요. 파이썬에서는 이런 변환이 아주 쉽습니다:

python# 정수를 문자열로 변환
age = 25
age_str = str(age)  # "25"

# 문자열을 정수로 변환
number_str = "100"
number = int(number_str)  # 100

# 문자열을 실수로 변환
float_str = "3.14"
pi = float(float_str)  # 3.14

# 정수나 실수를 불리언으로 변환 (0은 False, 나머지는 True)
bool_value1 = bool(0)  # False
bool_value2 = bool(1)  # True

실습: 변수와 데이터 타입 활용하기

이제 배운 내용을 활용해서 간단한 프로그램을 만들어 볼까요?

python# 사용자 정보 저장하기
name = "김파이썬"
age = 25
height = 175.5
is_student = True

# 정보 출력하기
print("이름:", name)
print("나이:", age)
print("키:", height, "cm")
print("학생 여부:", "네" if is_student else "아니오")

# 내년 나이 계산하기
next_year_age = age + 1
print("내년 나이:", next_year_age)

# 자기소개 문자열 만들기
introduction = "안녕하세요! 저는 " + name + "이고, " + str(age) + "살입니다."
print(introduction)

이 코드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옵니다:

text이름: 김파이썬
나이: 25
키: 175.5 cm
학생 여부: 네
내년 나이: 26
안녕하세요! 저는 김파이썬이고, 25살입니다.

마무리

오늘은 파이썬의 변수와 기본 데이터 타입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 이 개념들은 프로그래밍의 기초가 되는 부분이니 확실히 이해하고 넘어가시는 것이 좋아요!

다음 포스팅에서는 파이썬의 리스트와 튜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여러 데이터를 한 번에 관리하는 방법을 배워볼 거예요.

혹시 질문이 있거나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. 함께 공부해요! 🚀

연습 문제

포스팅을 읽고 이해를 더 깊게 하기 위해 아래 연습 문제를 풀어보세요:

  1. 여러분의 이름, 나이, 취미를 저장하는 변수를 만들어보세요.
  2. 원의 반지름을 저장하는 변수를 만들고, 원의 넓이를 계산해보세요. (π × r²)
  3. 문자열 “123”을 정수로 변환한 후, 100을 더한 결과를 출력해보세요.

다음 시간에 만나요! 😊